Information/health
-
용안육 효능Information/health 2022. 2. 24. 18:46
용안육 효능 용안육(龍眼肉)이란 '용의 눈'이란 뜻으로 무환자 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용안의 과피를 제거하고 과육만 말린 것입니다. 용안육은 말리기 전 모습을 보면 속살 과육이 하얗고 씨가 까매서 동물의 눈처럼 생기기도 했고 용의 눈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용안육은 중국 남부와 인도, 아열대 지역에서 잘 자라며 약재로 사용할 때는 용안의 과육을 말려 사용한다고 합니다. 맛은 단맛이 강하며 외국에서는 말린 망고처럼 맥주 안주로 먹는다고 합니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용안육 효능으로 달고 성질이 따뜻하며 심장과 비장의 기능을 좋게 해주는 작용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에는 '간, 심, 비, 폐, 신 등 오장의 나쁜 기운을 물리쳐 편안하게 하고 의지를 강하게 한다. 달고 따뜻한 성질이 있고 ..
-
산조인 효능Information/health 2022. 2. 23. 22:34
산조인 효능 산조인이란 갈매나무과의 멧대추(묏대추)의 씨로 만든 약재를 말하는데요. 멧대추나무는 우리나라 각지의 낮은 산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며 특히 석회암 지대에 많습니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물에 담가 두어 열매살을 썩여 버리거나 벗겨 버리고 씨만 모아 햇볕에 말리는데요.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고 심경(心經)·비경(脾經)·간경(肝經)·담경(膽經)에 작용합니다. 또한 생김새는 난원형이며 바깥면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매끄럽고 광택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씨앗 껍질은 약간 유연하고 회색의 내유 및 엷은 황색의 자엽을 싸고 있습니다. 산조인은 옛부터 다양한 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재로 다양하게 활용했다고 합니다. 멧대추나무(묏대추나무)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
-
코피가 자주나는 이유Information/health 2022. 2. 23. 18:45
코피가 자주나는 이유 코피는 콧속 비중격의 양쪽 면 혈관이 파열되면서 피가 흐르는 증상으로 코점막이 약한 사람에게 주로 나타나는데요. 어느 부위의 혈관이 손상되느냐에 따라 출혈량이나 지혈 방법에 차이가 납니다. 코피의 약 90%는 코 앞쪽 점막의 혈관에서 발생하는데, 이를 전방 비출혈이라고 합니다. 전방 비출혈 중에서도 가장 많은 것은 키셀바흐 혈관총 부위의 출혈로 전방 비출혈의 60%를 차지하는데요. 이곳은 콧속을 좌우로 나누는 얇은 판 모양의 구조물인 비중격의 앞쪽에 해당하며 혈관이 많이 분포하고, 점막도 얇아 사소한 충격에도 쉽게 코피가 나고 지혈 역시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코 안쪽 깊은 곳에서 코피가 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후방 비출혈이라고 하며 후방 비출혈은 전방 비출혈보다 출혈량이 많..
-
반신욕 효과Information/health 2022. 2. 23. 16:31
반신욕 효과 반신욕은 전통적으로 머리는 차갑게 하고 발은 따뜻하게 한다는 건강법에 초점을 둔 목욕법으로 체온보다 약간 높은 온도의 물을 배꼽까지만 담금으로써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땀을 나게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반신욕은 몸에 큰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체내의 차가운 기운을 없앨 수 있는데요. 일반적인 사람은 상체 체온이 하체 체온보다 높은데 반신욕을 하면 하반신의 따뜻한 혈액과 상체의 차가운 혈액 사이에 대류가 일어나 체온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반신욕은 추운 날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더운 날에도 즐길 수 있으며, 물 외부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타월로 어깨를 감싸는 등 체온을 적당히 유지해 주기도 합니다. 반신욕 적정 시간 반신욕은 식사하기 30분 전이나 식후 또는 운동..
-
노박덩굴 효능Information/health 2022. 2. 22. 21:31
노박덩굴 노박덩굴은 쌍떡잎식물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의 낙엽활엽 덩굴나무로 노박따위나무, 노랑꽃나무, 남사등, 노방패너울 이라고도 하는데요. 산과 들의 숲속에서 자라며 다른 나무를 감고 올라가며 자라는데 길이는 약 10M 정도로 자랍니다. 5월경 꽃이 피고 10월경에 노랗게 열매가 익으면서 터지고 속이 빨간 씨앗을 드러냅니다. 노박덩굴은 덩굴이 길 위까지 뻗어 나와 길을 가로막을 정도로 자라는 것을 통해 노박폐덩굴이라 이름 붙여진 것이 점차 부르기 편하게 바뀌며 노박덩굴이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노박덩굴 나무는 가을에 보이는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어도 좋은 나무이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와 열매는 약용하는데요. 봄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을 수 있고, 종자는 기름을 짜며 나무껍질로는 섬유를 뽑는다고 합..
-
혓바늘 원인과 없애는법Information/health 2022. 2. 21. 22:53
혓바늘 혓바늘은 혀나 구강 쪽에 작은 궤양이 생기거나 미각을 담당하는 혀 유두가 염증으로 붉게 솟아오르는 증상을 말하는데요. 혓바늘이 생기게 되면 통증뿐만 아니라 자꾸 거슬려 신경을 쓰이게 만듭니다. 혓바늘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지만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점차 심해지면 명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스트레스로 인해 혈액 순환이 잘되지 않으면 침샘에도 혈액 공급이 안 되거나 침 분비가 줄어들면서 감염에 취약해져 혓바늘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구강 내 점막의 지속적인 상처로 인해 생겨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해지거나 영양이 불균형해져도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입안에는 700가지 이상의 세균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입압이 청결하지 못하면 박테리아수 증가로 감염 위험이 높아져 혓바늘의..
-
미주신경성 실신 검사Information/health 2022. 2. 21. 20:55
미주신경성 실신 미주신경성 실신이란 실신 유형 중에 가장 흔한 유형으로 신경 심장성 실신이라고도 합니다. 혈관이 갑자기 확장되고 심장 서맥으로 저혈압과 뇌 혈류량이 감소되면서 일시적으로 생기는 의식을 잃는 증상을 말합니다. 우리 목에 위치하고 뇌로 가는 혈관인 경동맥에는 심혈관과 서로 연락을 주고받는 미주신경이 있는데요. 미주신경은 주로 자율 신경계의 일에 관여하며 심장박동수를 느리게 하는 일도 합니다. 이런 미주 신경이 유독 민감하게 반응할 때, 심박수가 순간적으로 느려지고 다리가 풀리는 등 미주신경성 실신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출퇴근길 지하철에 오래 서있거나 밀폐된 공간에서 산소가 부족할 때 어지럽거나 울렁 거리는 증상, 두통 등을 느낄 수 있으며 얼굴이 창백해지면서 피부가 축축 처지고 앞이 잘 보이..
-
화병 증상 및 치료Information/health 2022. 2. 21. 17:32
화병 화병(울화병)은 흔히 착한 사람들의 마음의 병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심리적인 문제를 원인으로 생긴 병으로 억울하고 화가 나는 감정 및 스트레스를 제때 풀지 못하고 누적되는 일이 발생하면서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화병은 한국에만 있는 병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현재는 세계적으로 공인된 병명이 되었습니다. 또한 화병은 정신적인 증상에서 시작하여 증상이 지속되었을 때는 신체적인 증상으로 까지 확산되어 나타나는데요. 주로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턱턱 막히며 뱃속에서 어떤 뜨거운 뭉치가 치밀어 오르는 증세와 함께 불안, 절망, 우울, 분노 등의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화병 진행 단계 처음은 "충격기"로 어떠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정신적인 충격을 받게 되는데요. 이것을 시작으로 배신감이 쌓이면서 증오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