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health
-
쌀눈의 효능Information/health 2022. 2. 10. 19:55
쌀눈의 효능 쌀눈은 쌀의 싹이 자라는 곳으로 ‘배아’라고도 불리며 쌀알 끝부분에 있는데요. 크기는 작지만 항산화 성분, 감마오리자놀, 필수 지방산, 식이섬유, 비타민 등 쌀의 영양 성분 66%가 들어있을 정도로 영양분이 풍부합니다. 실제 쌀의 영양은 쌀눈 부분에 66%, 쌀겨 부분에 29%, 쌀 부분에 5%가량 분포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쌀눈에는 철분, 단백질, 비타민B2, 비타민B6, 마그네슘 등의 영양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알파토코페롤, 가바, 옥타코사놀, 베타시스테롤 등의 기능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쌀 10kg을 도정했을 때 쌀눈은 10g 정도 밖에 추출되지 않지만 쌀에 비해 영양소는 13배가 더 높다고 합니다. 그럼 쌀눈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면역력 강화 쌀눈에는 감마오..
-
발뒤꿈치 갈라짐Information/health 2022. 2. 10. 16:00
발뒤꿈치 갈라짐 요즘처럼 춥고 건조한 날씨에는 자극이 늘고 수분 부족이 심해지면서 굳은살이 생긴 발뒤꿈치가 쩍쩍 갈라지는 증상이 나타나게 될 수 있는데요. 각질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 있는 일종의 단백질로 외부의 유해인자 침투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주고 체내 수분의 증발을 막아주는 역할도 합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절로 떨어져 나가게 되어 있는데요. 각질이 정상적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점차 딱딱해지면서 굳은살이 생기게 됩니다. 보통은 체중을 받치고 있는 발뒤꿈치에 생기기 쉬우며 하이힐이나 구두 같은 신발이나 딱딱한 발바닥에 마찰이 많은 경우에도 흔하게 생깁니다. 발뒤꿈치 갈라짐은 미관상 좋지 않을뿐더러 양말이나 스타킹을 신을 때도 불편하며 심할 경우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요. 오늘은 발뒤꿈치 ..
-
발바닥 굳은살 원인Information/health 2022. 2. 9. 16:10
발바닥 굳은살 원인 발은 우리 몸의 체중을 지탱하고 균형을 잡아주는 중요한 곳으로 평소 발 관리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데요. 오늘은 발에 생기는 굳은살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굳은살은 피부에 압박이나 마찰이 많은 곳에 생기는데요, 발바닥이나 발가락은 우리 신체 중에 가장 많은 압력을 받는 곳이라 굳은살이 생기기 쉽습니다. 발 모양이나 신발, 걷는 습관 등에 따라 굳은살이 생기기도 하며, 발의 건조함이나 무좀, 노화로 인한 신진대사 저하로 인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부위에 신경이 쓰이고 불편할 정도로 계속 생기는 경우에는 소건막류, 무지외반증 등 다양한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치료가 필요한 굳은살의 위치와 관련 질환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소건막류 소건막..
-
바나바잎 효능Information/health 2022. 2. 9. 00:00
바나바잎 효능 바나바잎은 바나바 나무의 잎으로, 나무의 학명은 Lagerstroemia speciosa이며 인도나 동남아시아 및 필리핀 등 아열대 지방에서 자생하는 허브 식물로 필리핀에서는 수백 년 전부터 당뇨, 변비, 신장병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 의약품 약물로 지정되어 있고 약용차로 이용하고 있을 정도로 약효가 뛰어나다고 합니다. 특히 바나바나무는 꽃이 예뻐 태국에서는 국민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으며 가로수로도 흔하게 볼 수 있는데요. 당뇨에 좋다고 알려져 동남아시아에서는 바나바잎차를 마셔라고 권할 정도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당뇨 환자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2019년 기준 전 세계 성인 인구 9.3%가 당뇨를 앓고 있다고 보고 되었으며 국내 당뇨 인구는 500만명이 넘어섰고 3..
-
고로쇠물 효능Information/health 2022. 2. 8. 21:55
고로쇠물, 고로쇠수액 고로쇠물, 고로쇠수액은 고로쇠 나무에서 한 방울씩 모아져서 만들어진 약수이기 때문에 신비의 약수로 예로부터 뼈에 이롭다고 하여 골리수(骨利樹)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고로쇠물은 고로쇠 나무가 땅속 깊은 곳에서 수분을 빨아들인 수액을 인위적으로 채취한 물로 약간 미끌거리고 비릿한 냄새가 나며 과당, 포도당, 자당 등 당분이 풍부해 단맛이 나며 칼륨, 마그네슘, 셀레늄, 게르마늄 등 여러 종류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어 뼈 건강에 특히 좋다고 합니다. 게다가 일반 생수보다 영양분도 30배나 많다고 합니다. 고로쇠 수액에 관한 일화도 하나 있는데요. 신라의 승려 도선국사가 좌선을 마치고 일어서는데 무릎이 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근처 나무 가지를 잡고 일어서려는데 그 나무 가지가 부러..
-
피부 어루러기Information/health 2022. 2. 8. 16:00
피부 어루러기 어루러기란, 피부 반점을 일으키는 피부병의 일종으로 곰팡이균이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 질병을 말하는데요. 어루러기를 일으키는 곰팡이균으로는 말라세지아 글로보사(Malassezia globosa)와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 균이 있습니다. 반점은 붉지 않고 하얗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주로 몸통 부위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손가락, 발가락, 얼굴 등 어디든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루러기를 일으키는 균은 정상인의 피부에도 상주하고 있는 정상 상주 균으로 온도가 상승하고 습도가 증가하는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어루러기는 증상이 발현될 때 자각할 수 있는 증상은 거의 없으며 작은 반점이 크기가 커지는 경우 미관..
-
황기 효능Information/health 2022. 2. 7. 21:20
황기 효능 황기는 닭백숙을 할 때 빠지지 않는 약재로 한방에서 대표적인 보약인 십전대보탕에도 사용되며 생긴 모습이 인삼과 비슷해 단너삼이라고도 하는데요. 황기의 학명으로는 Astragalus membranaceus라고 불려지며, Astragalus는 복사뼈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membranaceus는 세포막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직역하면 복사뼈 모양의 세포막이라는 말이 되는데, 황기를 반으로 자른 단면과 비슷해서 만들어진 단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주로 양지바른 산지에서 자라는데 주로 경사가 가파른 산비탈 지역 또는 바위틈에서 자란다고 합니다. 또한 2000년이 넘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약재이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
무청시래기 삶기 및 효능Information/health 2022. 2. 7. 18:25
무청시래기 시래기는 푸른 무청을 새끼 등으로 엮어 겨우내 말린 것을 말하는데요. 무청시래기는 오랫동안 푹 삶아 찬물에 우렸다가 각종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데 구수한 맛과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시래기는 시래기찌개, 시래깃국, 시래기나물, 시래기죽 다양한 요리로 활용이 가능하며, 섬유질과 식이섬유, 비타민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영양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래기를 구입할 때는 싱싱한 무에서 나온 무청을 말린 것이 좋으며 줄기가 연하고 푸른빛을 띠며 잎이 연한 것이 좋습니다. 시래기를 보관할 때는 데쳐서 냉동 보관하거나 그늘에 말려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무청시래기의 다양한 효능과 부작용, 무청시래기 삶는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무청..